검은사막을 여행하는 모험가 여러분 반갑습니다!
오늘은 넓고 광활한 검은사막의 세계를 모험하는 여러분들이 만나게될 수 많은 이야기들 중 '무역'에 관해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.
검은사막의 무역 시스템은 최근 크게 개편되어 기존의 무역과 달라진 '발주 계약'과 '그믐달 소식지'를 활용하여 진행합니다.
#해당 글에서는 일반적인 발주 무역에 대해서만 다룹니다.
#먼저 무역을 하기 위한 거점간에는 반드시 노드가 연결되어야 합니다.
#노드가 연결되지 않으면 제값을 치를 수 없으니 무역을 원하는 두 거점은 반드시 노드를 연결하세요.
ESC-생활-발주 계약에서 무역품을 사는 것이 가능한 지역 거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.
#사는 것! 이 가능한 거점 입니다.
시세를 본 후 해당 거점의 무역관리인에게 방문하여 해당 무역상이 판매하는 물품을 구매-발주계약에 보관이 가능합니다.
#무역 거점인의 위치는 발주 계약 창 상단의 시세현황표 좌측의 화살표를 눌러 찾을 수 있다.
#보관된 물품은 7일간 대기기간이 생기며 대기기간에 비례하는 수수료가 발생합니다. 만약 7일 이상 보관할 시 물건 불출에 원가의 30%가 수수료로 부과됩니다.
이제 판매를 위해 각 지역의 시세 변동을 알아봐야 합니다.
ESC-생활-그믐달 소식지 혹은 발주 계약의 그믐달 소식지를 통해 각 지역의 물품들의 가격변동을 예고합니다.
가격 변동은 매일 오전 오후 2,6,10시에 적용됩니다.
다만 해당 소식지의 내용은 그대로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거나 반대로 적용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이런 경우 각 마을이나 거점 지역에 방문하여 NPC들의 대화를 듣고 소문의 진위 여부를 그나마(?!) 가릴 수 있습니다.
발주계약에 보관된 물품은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무역상 근처에서 발주계약창을 열어 우클릭하여 캐릭터, 말, 마차에 무역품을 욺겨 닮을 수 있습니다.
#다만, 물건을 꺼낸 직후 해당 무역품의 유통기한은 3시간으로 적용되니 판매가 확실할 때 물품을 꺼내는 것이 좋습니다.
#기본적으로 세렌디아 지역에서 산 무역품은 세렌디아 지역에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.
이후 가격 변동을 본 후 판매할 곳의 시세를 확인 한 후에 물건을 가지고 거점의 무역관리인에게 해당 물품을 판매하여 은화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!
#구매할 때 방문한 무역관리인이 아닌 다른 연결된 대도시의 무역관리인에게 판매가 가능하다!
#또한 방문하기전 미리 시세를 확인할 수 있다!
#지도의 무역관리인 아이콘을 참고하면 좋다.
보통 무역은 먼 마을에 다른 캐릭터를 배치 하여 시세가 매우 낮게 내려감 물품을 매입, 그믐달 소식지를 통해 급등한 품목을 먼거리에 내다 파는 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기본 골자 입니다.
#다만 거리보너스는 생각보다 크지 않음을 유의하여 좀 더 높은 값에 매입하는 가까운 거점에 파는 것이 이득일 수도 있습니다.
#그렇기에 한정적인 재고를 구입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주력 무역거점에는 부 캐릭터를 대기시키면 재고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.
'먼지쌓인 서재 > 검은사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뉴비를 위한 월드 우두머리 '오핀' 가이드 (0) | 2023.07.25 |
---|---|
검은사막 뉴비를 위한 시즌 강화 가이드 (0) | 2023.07.23 |
검은사막 월드 우두머리 '가모스' 위치와 보상 획득 방법 (0) | 2023.07.20 |
무역 개편 패치 후 가공 무역 변경점 (0) | 2023.05.09 |
[검은사막] 맵 특정 카메라 위치 저장하기 (1) | 2023.05.07 |